전월세 신고제 의무화 시작일과 적용 기준|임대차 계약 시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전월세 신고제는 임대차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 세입자 권리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로, 일정 요건을 충족한 계약에 대해 신고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월세 신고제의 시행일, 적용 기준, 예외사항 등을 핵심만 정리해 드립니다.
📌 전월세 신고제 시작일 및 주요 적용 기준
- 시행일: 2021년 6월 1일
- 적용대상: 보증금 6천만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원 초과 임대차 계약
- 신고기한: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
- 신고방법: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전월세신고 시스템’
전월세 신고제는 단순한 임대차 계약 보고를 넘어서, 확정일자 자동 부여 및 세입자 권리 보장 강화에도 도움을 주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특히 임차인의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보호를 받기 위한 요건과도 직결되므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래 표는 적용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계약 유형 | 보증금 | 월세 | 신고 의무 |
---|---|---|---|
전세 | 6천만원 초과 | – | O |
월세 | 6천만원 이하 | 30만원 초과 | O |
보증부 월세 | 6천만원 초과 | 30만원 이하 | O |
소액 계약 | 6천만원 이하 | 30만원 이하 | X (선택) |
전월세 계약을 체결한 임대인과 임차인은 반드시 해당 요건을 확인 후, 정해진 기한 내에 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신고 지연이나 누락 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입신고와 별도로 이루어지는 제도이며, 확정일자 효과도 함께 발생하므로 중복 신청할 필요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