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월세 신고제 의무화 시작일과 적용 기준|임대차 계약 시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전월세 신고제 의무화 시작일과 적용 기준|임대차 계약 시 꼭 알아야 할 핵심 포인트

전월세 신고제는 임대차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 세입자 권리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제도로, 일정 요건을 충족한 계약에 대해 신고가 의무화되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전월세 신고제의 시행일, 적용 기준, 예외사항 등을 핵심만 정리해 드립니다.


📌 전월세 신고제 시작일 및 주요 적용 기준

  • 시행일: 2021년 6월 1일
  • 적용대상: 보증금 6천만원 초과 또는 월세 30만원 초과 임대차 계약
  • 신고기한: 계약 체결일로부터 30일 이내
  • 신고방법: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 ‘전월세신고 시스템’

전월세 신고제는 단순한 임대차 계약 보고를 넘어서, 확정일자 자동 부여세입자 권리 보장 강화에도 도움을 주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특히 임차인의 주택임대차보호법상 보호를 받기 위한 요건과도 직결되므로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아래 표는 적용 여부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한 것입니다.

계약 유형 보증금 월세 신고 의무
전세 6천만원 초과 O
월세 6천만원 이하 30만원 초과 O
보증부 월세 6천만원 초과 30만원 이하 O
소액 계약 6천만원 이하 30만원 이하 X (선택)

전월세 계약을 체결한 임대인과 임차인은 반드시 해당 요건을 확인 후, 정해진 기한 내에 신고를 완료해야 합니다. 신고 지연이나 누락 시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전입신고와 별도로 이루어지는 제도이며, 확정일자 효과도 함께 발생하므로 중복 신청할 필요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