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외국인 해외송금 수수료 싼 곳 비교|한국 거주 외국인을 위한 송금 서비스 총정리
한국에 거주 중인 외국인 근로자 또는 유학생이라면, 본국으로 송금 시 저렴한 수수료와 높은 환율 우대를 제공하는 해외송금 서비스를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동남아·중앙아시아·남미 국가로 송금 시 플랫폼에 따라 수수료가 크게 차이 날 수 있습니다.
2025년 기준, 외국인이 많이 사용하는 합법적이고 안전한 해외송금 서비스를 수수료 기준으로 비교해보세요.
서비스명 | 수수료 | 환율 우대 | 특징 |
---|---|---|---|
와이어바알리 (WireBarley) | ₩0 ~ ₩3,000 | 실시간 우대 환율 | 필리핀, 베트남, 인도 등 외국인 다수 이용 |
토스 해외송금 | ₩0 ~ ₩5,000 | 최대 90% 환율 우대 | 간편 앱 기반, 송금 국가 제한 있음 |
리밋 (Remit) | 무료~₩3,000 | 보통 수준 | 24시간 내 송금 완료, 외국인 등록증 필요 |
하나은행 외국인 전용창구 | ₩5,000~ | 환율 우대 30~50% | 미얀마·중국·네팔 등 공식 외화송금 지원 |
센드비 (Sendbe) | ₩0~₩2,500 | 환율 실시간 적용 | 몽골·베트남·태국 등 특화, 외국인 전용 |
- 외국인 등록증 또는 여권 소지 필수
- 월 송금 한도는 대체로 ₩500만 ~ ₩1,000만 원 (서비스별 상이)
- 은행 이용 시 수취 국가 계좌 정보 정확히 입력
주의사항: 불법 송금 또는 계좌 도용 방지를 위해 외국인 등록정보, 송금 목적, 수취인 정보를 정확히 입력해야 하며, 일부 서비스는 한국어 앱 설정
👇 외국인도 쉽게 송금 가능한 서비스 바로 확인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