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학점 계산기 사용법|평균 평점(GPA) 계산부터 졸업 기준까지 정리

대학생 학점 계산기 사용법|평균 평점(GPA) 계산부터 졸업 기준까지 정리

대학생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사용하는 학점 계산기는 GPA(평균 평점)와 졸업 기준 확인에 꼭 필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간편한 학점 계산기 사용법과 성적 입력 팁, 전공별 유의사항까지 정리했습니다. 대학 생활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싶은 분들에게 필수 정보입니다.

대부분의 대학은 4.5 만점제 또는 4.3 만점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학점을 계산할 때는 ‘학점 × 과목 학점 수’를 모두 더한 후, 총 이수 학점으로 나누면 GPA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학점 계산 방법 요약:

  • 과목별 등급에 해당하는 점수 확인 (예: A+ = 4.5, B0 = 3.0 등)
  • 각 점수 × 학점 수 계산
  • 모든 과목 계산 후 총점을 이수학점으로 나누기

아래 표는 등급별 평점 환산 기준입니다.

등급 4.5 만점 기준 4.3 만점 기준
A+ 4.5 4.3
A 4.0 4.0
B+ 3.5 3.3
B 3.0 3.0
C+ 2.5 2.3
C 2.0 2.0

📌 중요: 졸업을 위해 필요한 최소 평균 평점은 대부분의 대학에서 2.0 이상입니다. 장학금, 복수전공 신청 시에는 3.5 이상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으니 정확히 계산하세요.

주의사항: 학점 계산 시 실습 과목, 재수강 과목의 반영 방식이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학교별 성적 산출 기준을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