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부동산 전세 복비 계산법 정리|사용자별 계약 금액 기준 중개보수 해결 가이드
전세 계약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부동산 중개수수료, 일명 ‘복비’. 지역별, 계약 금액별로 요율이 달라 혼란을 겪는 사용자를 위해 2025년 기준 복비 계산법을 정확하게 정리했습니다.
전세 복비란? 부동산 중개업소를 통해 전세 계약을 체결할 때 지급하는 중개보수로, 거래 금액에 따라 요율이 차등 적용됩니다. 계약 당사자(임차인·임대인) 모두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며, 2025년 기준 법정 요율표가 아래와 같이 정해져 있습니다.
📌 2025 전세 복비 요율 기준표
전세 금액 구간 | 요율(상한) | 최대 한도 |
---|---|---|
5천만 원 미만 | 0.5% | – |
5천만 원 이상 ~ 1억 원 미만 | 0.4% | – |
1억 원 이상 ~ 3억 원 미만 | 0.3% | 25만 원 |
3억 원 이상 ~ 6억 원 미만 | 0.4% | 최대 50만 원 |
6억 원 이상 | 0.5% 이내 (협의) | 별도 협의 가능 |
예시: 전세금 2억 5천만 원일 경우 요율 0.3% 적용 → 최대 25만 원 복비 부담
🧮 계산 공식
- 중개보수 = 전세보증금 × 해당 요율
- 단, 상한금액 초과 시에는 정해진 최대 한도 금액까지만 부과
주의사항: 중개보수는 반드시 영수증을 받고, 사전에 요율 및 금액을 중개사와 협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복비는 계약 체결 후 지급되며, 부당 청구 시 관할 시·군·구청 부동산 민원실에 신고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