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건강검진 발달검사 유형 총정리|언어·행동·K-ASQ 검사 항목·문항 수·점수 해석까지

영유아 건강검진 발달검사 유형 총정리|언어·행동·K-ASQ 검사 항목·문항 수·점수 해석까지

영유아 건강검진은 단순한 신체 계측을 넘어 발달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중요한 기회입니다. 특히 만 1세 이후부터 시행되는 K-ASQ 발달선별검사는 언어·인지·운동·사회성 등 다양한 영역을 점검합니다. 이 글에서는 검사 유형, 항목별 문항 수, 점수 해석법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발달선별검사(K-ASQ)는 9개월 이상부터 실시되며, 부모가 직접 문진표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검사 영역 내용 문항 수
대운동 앉기, 걷기 등 큰 근육 움직임 6문항
소근육 손가락, 손의 조작 능력 6문항
언어 말소리 이해 및 표현 6문항
문제해결 인지 능력, 문제 해결력 6문항
사회성 타인과의 상호작용 6문항

총 30문항으로 구성되며, 문항당 “예”, “약간”, “아니오” 중 하나를 선택합니다.

  • ‘예’ = 10점, ‘약간’ = 5점, ‘아니오’ = 0점으로 환산
  • 영역별로 점수 합산 후, 백분위 기준으로 평가
  • 하위 2% 이내: 정밀검사 권고, 3~25% 사이: 관찰 필요

검사 결과지는 영유아 건강검진 결과지에 포함되며, 이상이 발견될 경우 병원에서 소아발달클리닉 등 전문기관에 연계해줍니다.

주의사항: 문진은 보호자의 관찰 기반이므로, 상황을 정확히 떠올리며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부 항목은 평소 하지 않던 행동을 유도해 본 후 응답해도 됩니다.

※ K-ASQ 결과는 진단이 아닌 ‘선별 검사’입니다. 이상 소견이 나왔다고 너무 걱정하지 말고, 소아과 전문의의 해석을 꼭 함께 받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