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주기 안내|공단 기준·남녀별 차이·연 1회 검진 대상까지 정리
건강검진 주기는 질병 조기 발견과 예방에 핵심입니다. 본문에서는 몇 년마다 받아야 하는가, 남녀별 주기 차이, 연 1회 검진 기준, 건강보험공단 검진 주기를 깔끔하게 정리해드립니다.
건강검진 주기는 연령, 성별, 검진 항목에 따라 달라지며,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제공하는 국가건강검진은 기본적으로 격년 주기(2년마다)로 시행됩니다. 단, 특정 질환 또는 성별에 따라 연 1회 검진 대상도 있습니다.
건강검진 기본 주기 (공단 기준)
- 일반 건강검진: 만 20세 이상 홀수/짝수 출생 연도별로 2년마다 시행
- 의료급여 수급자 및 비사무직 근로자: 매년 1회 실시
- 직장가입자(사무직): 2년에 1회 실시
암검진 주기 정리 (성별·연령별)
검진 항목 | 대상 연령 | 검진 주기 |
---|---|---|
위암 | 만 40세 이상 | 2년마다 |
대장암 | 만 50세 이상 | 1년마다 (분변검사) |
유방암 (여성) | 만 40세 이상 | 2년마다 |
자궁경부암 (여성) | 만 20세 이상 | 2년마다 |
간암 (고위험군) | 만 40세 이상 | 6개월마다 |
남녀별 건강검진 주기 차이
- 여성: 자궁경부암·유방암 검진 추가 (2년 주기)
- 남성: 50대 이상 전립선·복부초음파 등 선택적 권장
- 여성은 임신 여부에 따라 검진 일부 항목 조정 필요
※ 주의: 건강검진 통보서가 오지 않더라도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본인의 검진 대상 여부를 꼭 확인하세요.